AED

생명을 구하는힘
하트스타트

자동심장충격기(AED)란?

자동심장충격기란 무엇인가요?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는 급성심정지(Sudden Cardiac Arrest) 환자, 또는 심장박동 기능을 잃어버린 사람에게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을 정상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입니다.

일반적으로 급성심정지 발생시 심장은 심실의 수축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미세하게 움직이는 심실세동 상태에 있게 되는데, 심실세동으로부터 본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전기 충격을 주어 “세동을 제거” 즉 “제세동” 해야만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세동 상태에 직, 간접적인 전기 충격을 주어 순간적으로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 시키고 이를 통해 다시 심장의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제세동을 행하기까지의 시간이 1분 늦어질 때마다 소생률은 7-10%씩 낮아지며, 심정지 발생 후 5분이 경과하면 50%까지 감소하게 됩니다.

하트스타트 FRx

자동심장충격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급성심정지 발생 시 자동심장충격기로 4분 이내에 응급처치를 시행하면 환자의 생존율을 80%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응급처치가 지연되는 동안 환자의 생존확률은 매분 7~10%씩 낮아집니다. 전문가들은 환자가 쓰러진 순간부터 응급처치를 
취하는 ‘4분’ 이 환자의 생사를  가늠하고 최대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라고 말합니다. 이 골든타임 내에 심폐소생술이나 자동심장충격기를 통한 조치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 환자의 생존율은 80%까지 높아지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환자는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조기 제세동을 하지 않을 경우

조기 제세동을 하지 않을 경우

조기 제세동을 할 경우 생존율

조기 제세동을 할 경우 생존율
life saving

우리나라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100명 중 5명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 시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여 더욱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이 40%에 달하는 미국과, 15% 이상인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은 4.6%에 그쳐, 100명 가운데 5명 정도만 살아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른 응급 조치가 필수적이지만, 119 신고 후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4분 27초(2007년 기준), 실제 상황에서는 5-10분 정도 소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119 신고 후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최대한 빨리 심폐소생술과 함께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가까운 곳에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되어 있는가,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를 이용하여 주변 사람이 얼마나 신속하게 전기 충격을 시행하는가가 생존 확률을 높이는 관건입니다.

이에 따라, 이미 해외 여러 나라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일반인이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왔으며, 우리나라 역시 2008년 6월 15일부터 「응급의료에관한법률」 개정안이 발효되어 지정된 공공장소에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하도록 하였습니다.

전기충격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전기충격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You are about to visit a Philips global content page

Continue

You are about to visit a Philips global content page

Continue

당사 사이트는 최신 버전의 Microsoft Edge, Google Chrome 또는 Firefox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