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6월 9일 개정된 「응급치료에관한법률」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시설에는 반드시 자동심장충격기(AED) 등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전문의료인 및 응급구조사 외에도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된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안전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구조 및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규정함으로써 응급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공공보건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에관한법률」 제2조에 따라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구급차
「소방기본법」 제35조에 따라 구급대에서 운용 중인 구급차는 자동 심장충격기를 설치하여 급성심정지환자 발생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공항 및 여객 항공기
「항공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항공기 중 항공 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여객 항공기 및 같은 법 제2조 제7호에 따른 공항에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하여야 합니다.
철도 객차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3조에 제4호에 따른 철도차량 중 객차에 반드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하여야 합니다.
20톤 이상 선박
「선박법」 제1조의 2에 따른 선박 중 총 톤수 20톤 이상 선박에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하여야 합니다.
By clicking on the link, you will be leaving the official Royal Philips Healthcare ("Philips") website. Any links to third-party websites that may appear on this site are provided only for your convenience and in no way represent any affiliation or endorsement of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ose linked websites. Philips makes no representations or warranties of any kind with regard to any third-party websites or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By clicking on the link, you will be leaving the official Royal Philips Healthcare ("Philips") website. Any links to third-party websites that may appear on this site are provided only for your convenience and in no way represent any affiliation or endorsement of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ose linked websites. Philips makes no representations or warranties of any kind with regard to any third-party websites or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