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제세동기(AED)’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가슴에 두 개의 패드를 붙이고 환자의 심전도를 자동 분석한 뒤, 전기충격을 통해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시키는 기기이다. 그 사이 즉시 환자의 상의를 벗기고 가슴 중앙 부위 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패드를 부착한 후 안내에 따라 전기충격을 실시하면 된다. 특히 자동제세동기 사용 시 감전의 위험은 거의 없으나, 여름철 물놀이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환자라면 바닥과 환자 몸의 물기를 닦고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패드 부착 후 자동제세동기가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하는 동안 분석에 오류가 없도록 환자에게서 손을 떼고 물러나 있는 것도 중요하다. 급성심정지 발생 후 1분 내에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해 심폐소생술을 실행할 경우 환자의 생존율은 90%에 달하지만, 처치가 1분씩 지연될 때마다 생존율이 7~10%씩 큰 폭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김태영 필립스 총괄대표이사는 “한 해에 2만 명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가 국내에서 발생하지만 생존율은 2.4%에 불과하다”며 “기온이 높고 물놀이 등 활동이 많은 여름의 계절적 특성 상, 일반인이 자동제세동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침착하게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매일경제 * 게재일자: 2011-08-04 * 한석영 기자
You are about to visit a Philips global content page
Continue